본문 바로가기
글바구니/사자성어

고사성어와 사자성어는 다른 말이다

by 모하씨 2023. 5. 5.

흔히 고사성어를 사자성어라는 말로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둘은 다른 개념입니다.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본래의 뜻과 차이점, 그리고 실제 사용예 등을 알아봅니다.

 

 

고사성어, 사자성어, 한자성어, 성어 개념 잡기

 

고사성어와 사자성어를 구분하자면 성어, 한자성어라는 개념 또한 함께 이해해야 할 것 같습니다. 서로 혼재해 사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사성어(故事成語)

 

고사성어란 고사(故事. 옛이야기)에서 유래한 한자어 관용어(成語. 성어)를 말합니다. 주로 중국 역사와 고전에서 왔으며, 옛사람들의 지혜와 경험, 교훈 등을 담고 있습니다.

 

서당인듯 옛 아동들이 책을 펼쳐놓고 나란히 앉아 있는 그림에 고사성어, 사자성어가 타이포되어 있는 일러스트
고사성어-사자성어

 


고사성어는 네 글자로 이루어진 말이 대부분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기우'나 '계륵'처럼 두 글자로 된 말도 있고 다섯 글자를 넘는 것들도 있습니다. 고사성어는 속담과 그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형태가 다릅니다. 고사성어가 단어인 반면 속담은 문구인 점에서 차별됩니다.

 

 

사자성어(四字成語)


사자성어란 네 글자(四字)로 된 한자 성어를 말합니다.
사자성어가 고사성어와 다른 점은 고사성어가 역사에 기반한 한자성어인 반면, 사자성어는 그런 기반 없이 한자 4개가 모여 이루어진 성어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사자성어 중에는 고사성어가 아닌 단어가 있고, 또 고사성어 중에는 네 글자가 아닌 단어도 있기 때문에 사자성어가 아닌 것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사성어가 사자성어이고 흔히 사자성어라 할 때는 고사성어를 칭하지만 엄밀히 구분하자면 그렇습니다.

 


성어(成語)


성어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관용구인 면에서는 같으나 ‘한자어’ 만이 아니라 서양의 사례 또한 포괄한다는 점에서 그 범위가 넓다 할 것입니다. 즉 그냥 ‘성어’라고 하면 서양의 고사성어도 포함합니다.


서양의 고사성어 역시 신화, 역사, 문화, 종교 등에서 나온 말이 많으며 이는 금언, 격언, 명언, 잠언 등으로 불리며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용됩니다. ‘예술은 짧고 인생은 길다’ ‘주사위는 던져졌다’ ‘루비콘강을 건넜다’ 등의 문장이나 ‘판도라의 상자’ ‘시지프스의 바위’ 등의 구절이 대표적인 서양의 성어입니다.


한자성어(漢字成語)


한자성어란 한자로 된 성어 모두를 말합니다. 이는 특별히 고사(옛이야기)에 근거하지 않아도 ‘성어(관용어)’인 만큼 우화 등의 비유나 교훈, 그 외 고전 문헌에서 유래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한자 성어와 고사성어 중에서 네 글자로 된 것을 사자성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고사성어 깊게 알기

 

전국시대, 고사성어의 출현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들은 위정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역사적 일화를 근거로 유세할 때가 많았습니다. 또한 제자백가나 위정자들 모두 드라마틱한 사건들을 겪으며 다양한 일화들을 만들어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이 한데 모여 관용어처럼 쓰이면서 오늘날의 고사성어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외국인들이 부딪히는 장벽, 고사성어


고사성어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그 말이 만들어진 배경까지 알아야 하는데, 이게 한자의 본고장인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보니, 단순히 한자를 안다고 그 뜻까지 이해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그렇다 보니 한자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외국인조차도 고사성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합니다. 이는 오늘날 한자어 교육에서 멀어진 우리 젊은 세대들 또한 예외가 아닐 것입니다.

 


시대에 따른 변화

 

시대가 지남에 따라 거의 쓰이지 않는 고사성어도 있습니다.

이는 고사성어가 옛 시대의 가치관을 담고 있다보니, 현대의 시대정신과 조화되지 않는, 불가피한 일입니다. 하여 고사성어라고 해서 무작정 남발해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습니다.

반면 고사성어 중 어떤 것들은 정치인이나 연예인에 의해 ‘조명받음으로써’ 시대의 유행어처럼 부상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특히 정치인들은 자신의 상황이나 의견을 개진할 때 고사성어를 많이 인용하는 것 같습니다.

 

 

마치며


고사성어 공부에 앞서 서론이 길었습니다.
모든 공부는 ‘개념잡기’가 초석이라 생각하기에, 혼용되고 있는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개념부터 잡아보았습니다.

그럼 슬슬 시작해 볼까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말조심 고사성어 사자성어 ‘가롱성진(假弄成眞)’ 뜻과 유래, 유의어까지

말조심, 말 관련 고사성어 두 번째 순서로 구화지문에 이어 '가롱성진(假弄成眞)' 알아봅니다. 한자어만 제대로 풀이해도 쉽게 뜻을 짐작할 수 있는 단어지만, 유래와 유사표현, 관련 속담과 심

mohac.tistory.com

 

말조심 고사성어 사자성어 ‘구화지문(口禍之門)’_뜻과 유래, 유의어까지

말과 관련된 고사성어, 사자성어들이 정말 많습니다. 그만큼 말이 사람관계에서 중요하다는 얘기일 것입니다. 모하씨 고사성어 & 사자성어. 그 첫 단어로 말조심 말 관련 고사성어, 구화지문으

mohac.tistory.com

 

사자성어, 고사성어와는 구별되는 ‘네글자 신조어’들

고사성어, 사자성어, 한자성어, 성어의 구별뿐만 아니라, 족보 없는 네 글자 신조어들 또한 마구잡이로 생겨나고 있어 구별이 필요해 보입니다. 네 글자 신조어들 살펴봅니다. 고사성어, 사자성

mohac.tistory.com

 

[알쏭달쏭 한글맞춤법] 치루다 vs. 치르다

알쏭달쏭 한글 맞춤법, 만약 어떤 일로 죗값을 받아야 할 때 '대가를 치루다'가 맞을까요? '치르다'가 맞을까요? 상황예시 : 치루다 vs. 치르다 치루다 : 네가 그 짓을 했다니 믿어지지가 않아. 넌

mohac.tistory.com

 

[맞춤법] '습니다'와 '읍니다', 아직도 틀린다고요?

아리송한 맞춤법,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첫 번째 순서로 '습니다'와 '읍니다'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쓰는 말이면서도 심심찮게 잘못 쓰는 걸 발견하게 되는 말입니다. 한글 맞춤법 규정

mohac.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