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사용법

‘표준어와 한글 맞춤법 ‘정리가 필요한 이유

by 모하씨 2023. 3. 16.

1988년도 한글 맞춤법이 개정된 이후, 기성세대 중 많은 분들은 여전히 과거의 표기법을 쓰고 있는 걸 봅니다. 이는 '잘못됐다' 라기보다는 '혼란스러운' 면이 크지만, 30여 년의 세월이 지났는데도 정착되지 못했다는 건 한편으로는 부끄러운 일이기도 합니다.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들, 하나하나 살펴봅니다.

 

 

한글 맞춤법 규정

 

앞서 언급했듯 현재의 맞춤법 규정은 1988년도에 바뀌었습니다. 때문에 그 이전에 학창 시절을 마감한 사람들 중에는 개정된 내용을 숙지하지 않아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표준어와 한글맞춤법 일러스트
표준어와 한글맞춤법이 필요한 이유


한글맞춤법규정 제1장 총칙 제1항에서는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로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맞춤법의 토대가 되는 것이 표준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언어란 것이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사라지기도 하고 새로 생겨나기도 하고 달라지기도 한다는 점입니다.

 


표준어와 맞춤법

 


표준어규정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1장 총칙, 제1항에서는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세가지 조건이 포함돼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바로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말일 것, '현대'에 쓰이고 있는 말일 것, '서울말' 일 것이라는 점입니다.


이 규정만 해도 과거에는 '서울, 중류사회, 현대'의 조건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즉 '중류사회'라는 조건이 '교양 있는'이라는 조건으로 바뀐 것입니다. 이렇듯 표준어나 맞춤법 규정 또한 시대 흐름에 따라 변함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혼란과 오용이 오는 듯 싶습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분명 '내 학창 시절에는 A라고 써야 한다고 배웠는데, 지금은 (규정이 바뀌어) B라고 써야 할 때, 이미 기성세대가 된 많은 분들은 과거에 배웠던 규정이 익숙하기도 하려니와, 한편으로는 개정된 규정을 숙지하지 않아 잘못 쓰기 쉽기 때문입니다.

 


하여, 먼저 하고 싶은 말은 혹 나이드신 분들이 맞춤법을 잘못 쓰더라도 힐난하기보다는 이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2017년 3월 28일 이후 시행되고 있는 현재의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에 근거해 틀리기 쉬운, 혹은 달라진, 혹은 잘못 알고 있는 것들 위주로 짚어보려 합니다.

 

 

▼ 관련글 더 보기

 

한글 맞춤법 역사와 총칙 & 한글 자음 제대로 읽기

 

한글 맞춤법 역사와 총칙 & 한글 자음 제대로 읽기

잘못 쓰기 쉬운 맞춤법 용례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한글맞춤법의 개정 역사와 규정 개요를 살펴보겠습니다. 덧붙여 한글 자음 읽는 법 또한 짚어보려 하는데, 이유는 모음의 경우는 별 문제

mohac.tistory.com

낱말-문장-구-문단-단락 개념 & 문단과 단락은 같은 것일까?

 

낱말-문장-구-문단-단락 개념 & 문단과 단락은 같은 것일까?

글쓰기법에 대해 기술한 글이나 책에서 어김없이 등장하는 단어가 낱말, 문장, 구절, 문단, 단락일 것입니다. 그러나 문단과 단락의 개념 구분이 애매합니다. 전문가들 조차 의견이 갈리는 것 같

mohac.tistory.com

[맞춤법] '습니다'와 '읍니다', 아직도 틀린다고요?

 

[맞춤법] '습니다'와 '읍니다', 아직도 틀린다고요?

아리송한 맞춤법,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첫 번째 순서로 '습니다'와 '읍니다'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쓰는 말이면서도 심심찮게 잘못 쓰는 걸 발견하게 되는 말입니다. 한글 맞춤법 규정

mohac.tistory.com

[알쏭달쏭 한글 맞춤법] '비껴 - 빗껴 - 빗겨 - 비켜'

 

[알쏭달쏭 한글 맞춤법] '비껴 - 빗껴 - 빗겨 - 비켜'

알쏭달쏭 한글 맞춤법, '비껴 - 빗껴 - 빗겨 - 비켜' 알아봅니다. 이 또한 비슷비슷해 언뜻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입니다. 상황 예시 : '비껴 - 빗껴 - 빗겨 - 비켜' 몇 개의 상황 예시를 들어보겠습니

mohac.tistory.com

[알쏭달쏭 한글맞춤법] 뵈요 vs. 봬요

 

[알쏭달쏭 한글맞춤법] 뵈요 vs. 봬요

알쏭달쏭 한글 맞춤법, 오늘은 뵈요 vs. 봬요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또한 틀리기 쉬운 단어 중 하나지요. 그럼 먼저 상황예시 제시합니다. 상황예시 : 뵈요 vs. 봬요 그럼 내일 뵈요 - 봬요. 그는 이

mohac.tistory.com

[알쏭달쏭 한글맞춤법] 치루다 vs. 치르다

 

[알쏭달쏭 한글맞춤법] 치루다 vs. 치르다

알쏭달쏭 한글 맞춤법, 만약 어떤 일로 죗값을 받아야 할 때 '대가를 치루다'가 맞을까요? '치르다'가 맞을까요? 상황예시 : 치루다 vs. 치르다 치루다 : 네가 그 짓을 했다니 믿어지지가 않아. 넌

mohac.tistory.com

 



관련사이트 : 국립국어원 한국어 어문 규범

여기에서는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 외에도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관한 규정과 해설을 다루고 있으니 참고하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