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04 [MZ 신조어] 유교걸? 유고걸? 뜻과 유래 유고걸을 아시는지요? 유교걸이라는 말은 들어보셨는지요?자고 나면 생기는 신조어들, 그 신조어들이 세태를 반영합니다. '유교걸' 또한 그러합니다. 과거 이효리의 노래, 유고걸에 기반을 둔 유행어 '유교걸'은 어느덧 SNS에서 해시태그로도 만날 수 있으니까요 '유교걸' 뜻 유교걸은 말 그대로 유교와 걸의 합성어입니다. 즉 유교사상을 갖고 있는 여성을 말합니다.지나친 노출이나 문란한 사생활에 거부감을 나타내며 보수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여성을 가리키는 신조어입니다. 이는 정말로 본인이 유교적인 사고방식을 지지해서라기보다는, 양육환경 등에 의해 자기도 모르게 유교적인 성향이 몸에 배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컨대 의식은 깨어(깨어나고) 있어도 여전히 '막 나가는 듯' 보이는 특정 상황에서 자기도 모르게 반감을.. 2023. 6. 28. 말관련 고사성어, 사자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_뜻과 유래, 황선영의 노래까지 말 관련 고사성어 '지록위마' 알아봅니다. 그러나 여기 '말 관련'이라고 할 때 '말'은 무슨 말일까요? 말씀(언어)을 뜻하는 '말'일까요? 동물 말(馬)을 뜻하는 '말'일까요? 물론 한자가 마(馬)이니 표면적인 뜻은 말(馬)이지만, 속뜻은 또 별개로 생각해 볼 여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 목차 1. 지록위마(指鹿爲馬) 한자 뜻과 풀이 2. 지록위마의 유래 3. 황선영의 곡, '지록위마' 4. 마치며 1. 지록위마(指鹿爲馬) 한자 指 가리킬 지 鹿 사슴 록 爲 할 위, 위할 위 馬 말 마 뜻과 풀이 직역하면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입니다. 이는 사실이 아닌 것을 강압적으로 사실화해 사람을 농락할 때 쓰는 말입니다. 진나라 승상 조고의 말에서 유래했으며 윗사람을 농락해 권세를 마음대로 할 때 주로.. 2023. 5. 30. 말조심 고사성어 사자성어 ‘가롱성진(假弄成眞)’ 뜻과 유래, 유의어까지 말조심, 말 관련 고사성어 두 번째 순서로 구화지문에 이어 '가롱성진(假弄成眞)' 알아봅니다. 한자어만 제대로 풀이해도 쉽게 뜻을 짐작할 수 있는 단어지만, 유래와 유사표현, 관련 속담과 심리학 용어까지 살펴봅니다. ▣ 목차 1. 가롱성진 한자 뜻과 풀이 2. 가롱성진의 유래 3. 유의어, 유사표현들 4. 마치며 자기 충족 예언 1. 가롱성진(假弄成眞) 한자 假 : 거짓 가 弄 : 희롱할 롱 成 : 이룰 성 眞 : 참 진 뜻과 풀이 거짓으로 농한 것이 진짜를 이룬다' 즉 가롱성진은 거짓이나 농담으로 한 말이 진짜가 될 수도 있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같은 뜻으로 弄假成眞(농가성진)이 있습니다 2. 가롱성진의 유래 가롱성진의 유래는 중국 주나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주(周) 나라는 성왕(成王) 대에 어린.. 2023. 5. 16. 말조심 고사성어 사자성어 ‘구화지문(口禍之門)’_뜻과 유래, 유의어까지 말과 관련된 고사성어, 사자성어들이 정말 많습니다. 그만큼 말이 사람관계에서 중요하다는 얘기일 것입니다. 모하씨 고사성어 & 사자성어. 그 첫 단어로 말조심 말 관련 고사성어, 구화지문으로 시작합니다. 구화지문(口禍之門) 한자 口 입 구, 禍 재앙 화, 之 갈 지(의 지), 門 문 문 뜻과 풀이 입은 재앙의 문이다.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니 말조심을 하라는 말. 출전: 전당서(全唐書) 구화지문의 유래 구화지문의 출전은 《전당서(全唐書)》입니다. 전당서 〈설시(舌詩)〉편에는 풍도(馮道)의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습니다. 口是禍之門 구시화지문 : 입은 재앙의 문이요 舌是斬身刀 설시참신도 :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다. 閉口深藏舌 폐구심장설 :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 安身處處牢 안신처처뢰 : 몸이 .. 2023. 5. 16.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