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7

만나이 계산기 계산법, 만나이 통일법으로 알아보는 완벽 정리 2023년 6월 28일을 기점으로 우리나라에도 만나이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사실 그동안 공적인 분야에선 만 나이가 쓰이고 있었다 해도, 일상에선 만 나이, 연 나이, 세는 나이(한국식 나이)가 혼용돼 혼선이 있었습니다. 이름하여 '만 나이 통일법' 시행에 부응해, 만 나이 계산법 알아보고 아울러 계산기도 소개합니다. 만 나이 통일법 시행 2023년 6월 28일을 시행일로 '만 나이 통일법'이 발효되었습니다. 이는 나이 계산을 ‘만(滿) 나이’로 통일한다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민법 및 행정기본법 일부를 개정한 법률상의 공표입니다. 해당 법은 2022년 12월 8일 국회를 통과한 후, 12월 27일 공포되었고, 2023년 6월 28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그럼 민법과 행정기본법에서 해당 조항을 살펴보겠습니다... 2024. 1. 5.
[알쏭달쏭 한글맞춤법] -이에요 -이예요 -예요 -에요 알쏭달쏭 한글맞춤법, 오늘은 '-이에요'와 ' -이예요', ' -예요' '-에요'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거예요? 거에요? 벌써부터 헷갈린다고요? ㅎ).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자 그럼, 먼저 상황예시 제시합니다. 상황예시 : -이에요-이예요 -예요 -에요 다음 예시문들은 각각 '-이에요 -이예요 -예요 -에요' 중에서 어느 표현이 맞을까요? 말도 안 될 것 같은 것은 빼고, 알쏭달쏭한 것만 보기로 제시하겠습니다. 각자 가늠해 보세요. 저건 내 것이에요 / 것이예요 이건 내 책상이에요 / 책상이예요 기다리던 주말이에요 / 주말이예요 그가 온다니 기쁜 일이에요 / 일이예요 그가 오는 건 기쁜 일이 아니에요 / 아니예요 아름다운 꽃이 한창이에요 / 한창이예요 그는 의사에요 / 의사예요 저 여학생 이름은 영희.. 2024. 1. 2.
토사구팽(兎死狗烹) 뜻과 유래, 쓰임 정치권 뉴스에서 심심찮게 들리는 사자성어, 토사구팽(兎死狗烹). '팽(烹)' 글자가 낯설어 언뜻 뜻이 와닿지 않지만, '삶을 팽'자라는 걸 알고 나면 한 방에 이해할 수 있는 말. 토사구팽, 뜻과 유래, 쓰임 알아봅니다. 토사구팽(兎死狗烹) 한자 兎 : 토끼 토 死 : 죽을 사 狗 : 개 구 烹 : 삶을 팽 뜻과 풀이 '토끼를 잡고 나면 사냥개도 쓸모가 없어져 잡아먹게 된다'는 뜻으로, 필요한 때에는 소중히 여기다가도 쓸모없게 되면 버린다는 의미입니다. 토사구팽(兎死狗烹) 유래와 쓰임 원래 토사구팽은 중국 춘추시대 때, 월(越) 나라 왕 구천이 오(吳) 나라를 멸하도록 도왔던 재상 범려(范蠡)의 말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하지만 더 많이 인용되는 이야기는 한나라 유방을 도와 초나라 항우를 멸하는데 공.. 2023. 12. 29.
세움터? 일반인의 세움터 활용법, 유용한 기능 세가지 세움터? 언뜻 용어가 생소한가요? 민원24, 정부24는 알아도 세움터는 처음이라고요? 그럴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세움터는 건축업무와 관련된 곳이거든요. 하지만 집 살 때, 지을 때, 하다못해 농막신고를 할 때도 활용할 수 있는 곳이니 알아두면 유익합니다. 일반인에게 요긴한 세움터 활용법 알아봅니다. 세움터란 세움터란 건축행정업무의 전산화 시스템을 말합니다. 민원인이 관공서를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행정업무를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건축행정 업문전반(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철거 등)을 전산화한 국가표준정보시스템을 말합니다. 2008년 6월 이후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건축행정의 원스톱처리 건축 관련 업무를 전산화함으로써 건축행정의 원스톱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인허가과정에서 관공서.. 2023.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