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북극항로 쟁점과 전망 '북극이 녹으면서 글로벌 해운 들썩'

by 모하씨 2025. 5. 18.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전통적인 수에즈나 파나마 운하 대신 러시아 북부 해안을 따라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북극항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해운 물류 거리 단축이라는 기회와 환경 문제 및 지정학적 긴장이라는 도전을 동시에 안고 있는 북극항로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시작하며

 

북극항로 썸네일



북극항로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얼음이 녹아내리면서 실현 가능해진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새로운 해상 운송로를 말합니다. 전통적인 수에즈 운하나 파나마 운하 경로보다 최대 9,000km를 단축할 수 있어 운항 시간과 비용 절감 측면에서 최근 글로벌 해운을 들썩이게 합니다.

그러나 북극항로는 환경 문제, 인프라 부족, 지정학적 긴장 등 여러 도전과제가 공존하는 복잡한 의제이기도 합니다. 현재 북극항로 이용은 2023년 기준 물동량 3,620만 톤을 지나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북극항로의 정의와 현황


북극항로 종류와 특성

북극항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첫째, 러시아 북부 해안을 따라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북동항로(Northeast Passage 또는 Northern Sea Route)
  • 둘째, 캐나다 북극해 군도를 통과하는 북서항로(Northwest Passage)
  • 셋째, 북극점(North Pole) 근처를 통과하는 북극점 횡단 항로(Trans-polar Passage)

 

이 중 현재 가장 활발히 이용되는 것은 러시아 영토 인근을 지나는 북동항로입니다. 
북동항로는 서쪽의 바렌츠해를 출발해 카라해, 랍테프해, 동시베리아해, 추코트카해, 베링해를 따라 동해로 이어지는 항로로 길이는 총 5,600km에 달합니다. 러시아가 규정하는 북극항로 수역은 서쪽의 노바야 제믈랴 제도에서 동쪽의 베링해협 데쥐녜바 곶까지 러시아 연방 내수,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을 포괄합니다.

북극항로 이용 현황

현재 북극항로는 주로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 동안 운항됩니다. 북극항로의 물동량은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3년 기준 전체 화물 물동량이 3,620만 톤을 기록했으며, 특히 북극항로를 완전히 통과하는 통과 화물은 2023년 기준 215만 톤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북극항로 운항에는 쇄빙선의 도움이 필수적인데, 현재 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쇄빙선단(쇄빙선 41척, 원자력 추진 쇄빙선 11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10척의 쇄빙선이 운행 중이고 추가로 4척이 건조 계획 중입니다.
북극항로를 따라 항해하면 Sabbeta, Dudina, Tiksi, Pevek 등을 포함한 70개 이상의 항구를 마주하게 됩니다.

 

북극항로의 중요성과 이점


경제적 효율성

북극항로의 가장 큰 매력은 기존 항로 대비 거리와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상하이에서 로테르담까지의 항로를 비교해보면, 파나마 운하 이용 시 25,588km, 수에즈 운하 이용 시 19,530km, 북방항로(러시아) 이용 시 15,793km, 북극점 통과 시 13,630km입니다.

이는 수에즈 운하 대비 최대 9,000km를 단축할 수 있으며, 운항일수도 10~14일 줄어듭니다. 12노트로 항해할 경우 약 10일이 절약되는 것으로, 이는 연료비와 인건비 등 운항 비용의 상당한 절감을 의미합니다.

또한 북극항로는 인도양에 출몰하는 해적과 같은 위험 요소를 피할 수 있고, 수에즈나 파나마 운하 통행료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이점은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고 무역의 90% 이상이 해상 운송에 의존하는 국가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자원 접근성 향상

북극 지역에는 막대한 천연자원이 매장되어 있습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북극에는 전 세계 미발견 석유의 13%인 약 900억 배럴, 천연가스의 30%, 가스하이드레이트의 20%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북극항로의 개발은 이러한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켜 에너지 안보와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는 이미 2017년 야말 LNG 프로젝트에서 연간 1,740만 톤의 LNG를 생산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Arctic LNG-2 프로젝트를 통해 연간 1,980만 톤의 LNG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자원 개발 사업은 북극항로의 이용 증가와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북극항로의 문제점과 도전 과제


환경적 도전

북극항로 운항 증가에 따른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환경 오염입니다. 특히 선박이 배출하는 '블랙 카본'(불완전 연소 시 발생하는 그을음)은 북극의 해빙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됩니다. 블랙 카본이 내려앉은 얼음과 눈은 열을 반사하는 하얀 눈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해 빠르게 녹으면서 온난화를 가속할 수 있습니다.

환경단체들은 2015~2019년 사이 북극에서 유조선과 대형 화물선 등에서 배출된 블랙 카본 양이 85%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문제는 해상 운송의 경우 도로나 철도, 내륙 수로 등 다른 운송 부문과 달리 배출 가스에 대한 별도 규제가 미비하다는 점입니다.

인프라 및 안전 문제

북극항로 이용의 또 다른 장애물은 인프라 부족과 안전 문제입니다. 북극항로에는 컨테이너 항해에 필요한 항구 기반시설과 노동력이 부족하여 5000TEU 이상 규모의 컨테이너선에 쇄빙장치를 설치하고 전문 승무원을 공급하기에는 아직 여건이 열악합니다. 또한 북극해에서의 기름 유출 방제, 난파선 해체, 선원 구조 등의 문제는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입니다.

 

 

현재 북극항로 운항은 러시아 쇄빙선의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정치적·경제적 의존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입니다. 또한 기상 조건의 불확실성과 빙하의 움직임은 항해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인입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북극항로는 지정학적 긴장과 갈등의 중심에 있습니다. 러시아는 2035 북극개발 전략과 북극항로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대규모 투자를 통해 쇄빙선 기반 물류망과 에너지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자국을 '근(近)북극국가'로 규정하고 '빙상 실크로드'(Ice Silk Road) 전략을 통해 북극 진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강대국들의 북극 진출 경쟁은 지정학적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으며, 특히 러시아-중국 간 에너지 협력과 상이점은 북극 지역의 국제 관계를 복잡하게 만드는 요소입니다. 현재 북극항로 통과 화물의 95%가 러시아-중국 간 물량이라는 점은 이 지역에서의 두 국가의 영향력을 보여줍니다.

 

국제사회와 우리의 대응 방안


국제적 규제와 협력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적 규제와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17년부터 발효된 '극지해역 운항선박에 대한 국제코드'(Polar Code)를 통해 북극항해에 대한 안전 및 환경보호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블랙 카본 배출 등 여러 문제에 대한 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환경단체 '클린 북극 동맹'은 북극을 운항하는 선박들이 중유에서 더 깨끗한 증류 연료로 전환하면 블랙 카본 배출을 44% 줄일 수 있고, 매연저감장치(DPF) 장착을 통해 추가로 9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이러한 환경 규제와 기술 개발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중요합니다.

우리의 대응 전략

우리나라는 2013년 북극이사회 옵서버 가입을 계기로 북극정책을 마련해 시행 중입니다.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고 무역의 90% 이상이 해상 운송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북극항로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북극항로는 우리 해운업계의 성장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조선, 에너지, 철도, 관광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쇄빙선 및 내빙선 건조 기술에서 강점을 갖고 있어, 북극항로 개발에 따른 조선 산업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환경 친화적인 선박 기술 개발, 북극 항해 전문 인력 양성, 국제 협력 네트워크 강화 등 다방면의 준비가 필요합니다. 또한 러시아, 중국 등 주요 이해관계국과의 전략적 협력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미래 전망 및 준비 사항

 

북극항로의 미래

지구온난화로 인한 북극 해빙이 지속됨에 따라 북극항로 이용 가능성은 계속 증가할 전망입니다. 2030년에는 최대 1.22m 두께의 얼음에서도 운항할 수 있는 쇄빙 화물선들이 북극항로를 통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2045년부터 2060년까지는 일반 화물선도 북극점을 지나 항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폴라리스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2034년까지 해양산업 분야에서 해양 석유·가스업이 연평균 7.9%의 성장률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해운(6.9%)과 수산업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북극항로와 북극 자원 개발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북극항로 이용을 위한 준비 사항

북극항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1. 환경 친화적 기술 개발: 블랙 카본 감축을 위한 친환경 선박 기술과 연료 개발이 필요합니다.
  2. 안전 시스템 구축: 북극해에서의 사고 방지, 구조 및 방제 시스템 구축이 중요합니다.
  3. 국제 협력 강화: IMO를 중심으로 한 국제 규제 강화와 북극이사회 등을 통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4. 인프라 투자: 항만시설, 통신, 기상 예측 시스템 등 북극항로 이용을 위한 인프라 투자가 요구됩니다.
  5. 전문 인력 양성: 북극 항해에 필요한 특수 기술과 지식을 갖춘 인력 양성이 중요합니다.

 

✅ 블랙카본(Black Carbon)

화석연료, 바이오 연료, 식물 등이 불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검은색 그을음 형태의 미세 탄소 입자로, 일반적인 미세먼지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초미세먼지 양의 10~15%를 차지하며, 장기간 흡입 시 폐 기능과 인지능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주요 발생원: 자동차 매연, 석탄 연소, 논밭 태우기, 산불 등
기후영향: 햇빛을 흡수하는 성질 때문에 지구온난화를 촉진. 열을 흡수하는 힘이 이산화탄소보다 460~1500배 강함.
환경적 영향: 블랙카본이 눈이나 빙하에 내려앉으면 원래 하얀색인 눈이 더 많은 태양열을 흡수하게 되어 빙하가 녹는 속도를 가속화하게 됨.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이산화탄소(40%) 다음으로 높은 약 18%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치며


이상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얼음이 녹아내리면서 새롭게 부상한 해운 물류의 새로운 대안, '북극항로'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북극항로는 기후변화가 만든 도전과 기회의 양면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경제적 효율성과 새로운 자원 접근성이라는 이점이 있는 반면, 환경 문제와 지정학적 복잡성이라는 도전도 공존합니다.

미래의 해운 산업과 국제 무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북극항로에 대해 한국은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참여 전략을 수립하되, 환경 보호와 국제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북극항로는 단순한 물류 경로를 넘어 미래 해양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전략적 공간입니다. 이제는 북극항로를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다가올 북극항로 시대에 체계적으로 대비할 때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SpaceX(스페이스 엑스)와 Starlink(스타링크), 어떻게 다르지?

 

SpaceX(스페이스 엑스)와 Starlink(스타링크), 어떻게 다르지?

일론 머스크의 두 우주산업인 SpaceX(스페이스 엑스)와 Starlink(스타링크), 어떻게 다를까요? 많이 들어 익숙하지만, 정확한 개념, 용도 역할 체크해 봅니다. 시작하며스페이스X는 2002년 일론 머스크

malha.tistory.com

손흥민 '임신 협박' 사건, '금품 갈취에서 2차 협박, 체포까지'

 

손흥민 '임신 협박' 사건, '금품 갈취에서 2차 협박, 체포까지'

손흥민 선수를 상대로 벌어진 ‘임신 협박’ 사건이 지난해 6월 금품 갈취로부터 최근 경찰의 체포까지 형사 사건으로 비화됐다. 피의자는 전 여자친구 관계였던 20대 여성 A씨와 그의 지인 40대

mohac.tistory.com

스페이스X 민간 우주관광 예약 본격화, '우주여행 상용화되나?'

 

스페이스X 민간 우주관광 예약 본격화, '우주여행 상용화되나?'

스페이스X가 민간인을 대상으로 우주관광 예약을 본격화하면서 ‘우주여행 상용화’ 시대가 한층 가까워졌다. 창업 초기부터 로켓 재사용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삼아 온 스페이스X는 지금까지

bogoc.tistory.com

로버트 프레보스트에서 레오 14세로 : 새 교황의 탄생

 

로버트 프레보스트에서 레오 14세로 : 새 교황의 탄생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후, 미국-페루 이중국적자 로버트 프레보스트가 가톨릭 역사상 첫 미국인 교황 '레오 14세'로 선출됐습니다. 아우구스티노회 출신으로 페루 빈민가에서 20년간 헌신한 프레

mohac.tistory.com

칸 영화제 2025 소식, 한국 영화의 위상과 주요 수상작

 

칸 영화제 2025 소식, 한국 영화의 위상과 주요 수상작

2025년 칸 영화제가 5월 13일부터 24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열립니다. 세계 영화계의 중심 무대에서 펼쳐지는 이번 78회 영화제의 주요 소식과 수상작, 한국 영화의 성과를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영

bogoc.tistory.com

인간 피부를 이용한 책 제본의 역사와 현대적 쟁점

 

인간 피부를 이용한 책 제본의 역사와 현대적 쟁점

인간 피부로 책을 제본하는 관행(anthropodermic bibliopegy)이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을 중심으로 실재하였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과학적 검증을 통해 확인된 사례만 18건이며, 이는 의학적 실험

bogoc.tistory.com

부산 SKT 사용자 5천만원 금융피해 발생!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스미싱?

 

부산 SKT 사용자 5천만원 금융피해 발생!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스미싱?

최근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로 불안감이 가중된 상황에서, 부산에서 60대 남성의 총 5천만원 금융 피해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건과 연관성이 있는지가

mohac.tistory.com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 체포 | '마약과의 전쟁은 반 인도적 범죄'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 체포 | '마약과의 전쟁은 반 인도적 범죄'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무차별 총살을 감행했던 전 필리핀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가 반 인도적 범죄였다는 혐의로 필리핀 정부에 체포되었습니다. 자세하게 알아봅니다.  '마약과의 전

mohac.tistory.com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 |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 |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에너지 정책에 대한 행정명령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화석연료 생산 확대, 기후변화 대응 정책 후퇴로 요약되는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

mohac.tistory.com

주요 지진대 취약 지역 분석 및 지진 대비 전략

 

주요 지진대 취약 지역 분석 및 지진 대비 전략

지진대가 무엇이며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주요 지진대를 살펴보고 특히 지진에 취약한 지역과 국가, 도시들을 살펴봅니다. 더불어 우리나라는 지진에 안전한지 함께 검토해 보

mohac.tistory.com

일본 진도 6.9 강진 발생 소식 & 난카이 트로프 난카이 해곡 대지진 가능성

 

일본 진도 6.9 강진 발생 소식 & 난카이 트로프 난카이 해곡 대지진 가능성

어젯밤(2025. 1. 13. 저녁 9시) 일본 미야자키현 인근에서 진도 6.9 규모의 강진이 발생했다는 소식입니다. 현재 별 피해는 없는 상황이지만 이번 지진이 난카이 트로프 난카이 해곡과 관련 있다는

mohac.tistory.com

댓글